■ 진행 : 이현웅 앵커, 조예진 앵커 <br />■ 출연 : 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br />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 <br /> <br />경제 소식을 빠르고 친절하게 전달해 드립니다. 스타트경제, 오늘은 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십시오. 관세 유예 시한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각국이 협상에 발빠르게 나서고 있는데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협상을 맺지 못한 국가들을 또 한 번 압박했다고요? <br /> <br />[서은숙] <br />그렇습니다. 지난 7월 28일, 미국 시간으로 어제죠. 스코틀랜드에 방문 중인 기자회견에서 합의하지 못한 국가들은 전체 15~20% 정도의 세계 관세를 부과받게 될 거다라고 말을 했고요. EU, 일본과 협상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상황이잖아요. 그래서 아직 협상 타결이 되지 않은 국가들 대상으로 한국, 중국, 아세안 일부 국가들인데요. 이 국가들을 압박하려는 전략적인 목적이 있다고 봅니다. 트럼프의 스타일인 거죠. 특히 8월 1일이 관세 유예기간이 긴박하게 다가오고 있잖아요. 이틀 정도 남았단 말이에요. 이 상황에서 최대한 많은 양보와 투자를 받아내는 게 트럼프의 목표 달성에 해당되기 때문에 긴장을 최고조로 높여서 본인들이 받아내고 싶은 건 다 받아내겠다고 생각하고 있고요. 실제로 EU하고 일본도 이런 식으로 압박을 해서 각각 15%의 관세 부과를 하면서 본인들이 원하는 투자들을 굉장히 많이 받아낸 상황이란말이에요. 그래서 이를 다른 국가들에 대한 선례로 홍보하는 사례로 쓰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br /> <br /> <br />아직 관세 협상을 못한 나라 중에는 중국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중국과는 고위급 회담을 이어갔는데 여기서 또 한 번의 관세 휴전을 연상하는 방안이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지거든요. <br /> <br />[서은숙] <br />세 번째 관세협상이거든요.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진행 중인데 5시간 마라톤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뉴스에서 발표한 내용으로 보면. 원래 당초 휴전 기간이 8월 12일까지였어요. 8월 12일에서 최근 분위기로는 추가로 3개월 정도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양측에 굉장히 중요한 협상 쟁점 사항들이 있어요. 크게 주요 쟁점 사항들을 세 가지로 얘기하고 있는데 첫 번째...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7290710486583<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